장기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신체조성, 골밀도 및 혈중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최문기 |
인제대학교 |
The effect of long term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MD and blood cholesterol in menopause woman. |
|
|
|
|
|
ABSTRACT |
김진홍, 최문기. 장기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신체조성, 골밀도 및 혈중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7권 제3호. 351-362, 2008. 본 연구는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장기간(12개월) 복합운동프로그램 적용시 신체조성, 골밀도와 혈중지질의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aerobic ladder 및 circuit weight training으로 구성되어있으며 1년간 주 3회, 일일 90분간 운동을 실행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신체조성, 혈당, 혈중지질, 헤모글로빈, 동맥경화지수, 골밀도 등으로 한정하였다. 신체조성 중 BCM, TWB, FM, MM(p<.05), BMR(p<.01)은 4개월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8, 12개월 후엔 TWB, %FFM의 증가(p<.05)와 FM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혈당은 8, 12개월(p<.01), T-C는 4, 8개월(p<.01), TG는 4개월(p<.05), HDL-C는 12개월 후(p<.01), LDL-C는 8(p<.01), 12개월 후(p<.05)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AI는 4, 8(p<.05), 12개월 후(p<.01)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골밀도는 4개월 후에 측정된 R-Forearm의 BMD, T-score와 L-Calcaneuse의 BMD, T-, Z-score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장기간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 참여는 갱년기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골밀도에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삶의 질 개선에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Key words:
갱년기, 골밀도, 혈중지질, 헤모글로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