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Exerc Sci > Volume 17(3); 2008 > Article
Exercise Science 2008;17(3): 317-330. doi: https://doi.org/10.15857/ksep.2008.17.3.317
현수 운동이 체간 근육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송준, 이종삼
대구대학교
The effect of multi-axis sling suspension exercise on trunk-muscle activ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29명의 건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다축 현수 장치의 사용 시 운동 자세에 따른 요부 안정화 근육들의 활성도 차이를 구명하였다.모든 피험자는 세 가지의 기본자세를 통해 총 8가지의 운동을 수행했다: 굴곡 운동(운동 1~4), 복와위 신전 운동(운동 5~6), 앙와위 신전 운동(운동 7~8). 운동 중 표면 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해 복직근, 외복사근, 흉최장근 및 다열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자료는 최대 등척성 수축력(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반복 측정 일원 변량분석(Repeated measurement ONEWAY ANOVA)을 이용해 운동 방법에 따른 근 활성도의 차를 검증하였다. 운동 방법에 따라 각 근육의 활성도(%MVIC)에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p<.05). 복직근 및 외복사근의 활성도는 운동 1에서 나머지의 굴곡 운동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운동 1에서 복직근과 외복사근 간 근 활성도의 유의한 차를 보인 반면(p<.05), 나머지 운동 형태에서는 두 근육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신전 운동 시 다열근과 흉최장근의 활성도는 운동 5와 운동 6에서 운동 7과 운동 8과 비교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흥미롭게도 운동 5와 6에서 다열근과 흉최장근의 동원율이 유사해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운동 7과 8에서는 다열근의 동원율이 흉최장근과 비교해 유의하게 높음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 방법에 따른 요부 근 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요부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운동을 선택해 특정 근육의 발달에 적합하도록 적용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특정 근육 발달을 위한 운동의 적용을 위해 다축 현수 장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 words: 다축 현수 장치, 외복사근, 다열근, 표면 근전도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pt. of Healthcare and Science, Dong-A University, 37, Nakdong-daero 550beon-gil, Saha-gu, Busan 49315, Korea
TEL: +82-51-200-7517   E-mail: editor@ksep-es.org
Editorial Assistant: Taewan Kim +82-10-4019-0208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