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운동참여여부에 따른 혈중 IL-6 및 TNF-α 농도의 관련성 |
김기진 |
계명대학교 |
The associations of obesity and exercise participation with body composition, blood levels of IL-6 and TNF-α in adult women. |
|
|
|
|
|
ABSTRACT |
김기진.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혈중 IL-6 및 TNF-α농도의 관련성. 운동과학, 제17권 제2호. 119-128, 2008.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여부와 운동참여여부에 따른 혈중 IL-6 및 TNF-α농도의 차이, 신체구성의 지방 및 근육면적 등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부 및 대퇴의 지방면적에 대한 근육면적 비율은 비만그룹이 유의하게(p<.05) 낮았으며, 운동비참여그룹은 대퇴의 지방면적에 대한 근육면적의 비율이 운동참여그룹보다 유의하게(p<.05) 낮았다. 비만그룹이 혈중 IL-6 및 TNF-α농도는 유의하게(p<.05) 높았으며, 체중 1kg당 악력과 하버드스텝 PEI 지수는 유의하게(p<.05) 낮았다. 운동비참여그룹은 혈중 IL-6농도가 유의하게(p<.05) 높았다. 정상체중그룹과 비만그룹 모두 운동에 대한 비참여그룹이 참여그룹보다 혈중 IL-6농도가 유의하게(p<.05) 높았다. 혈중 IL-6농도는 체지방률과 r=.227의 유의한(p<.05) 상관을 나타냈으며, TNF-α농도는 체지방률과 r=.309, 복부지방과 r=.302, 대퇴지방면적과 r=.269의 유의한(p<.05) 상관을 각각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년여성은 비만발생시 근육량의 상대적 감소 및 근력저하현상을 나타내며, 비만그룹은 정상체중그룹보다 혈중 IL-6 및 TNF-α농도가 높게 나타내는데, 이러한 현상은 운동참여를 통해서 방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혈중 IL-6 및 TNF-α농도는 근육량보다 지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ey words:
체지방, IL-6, TNF-α, 복부근육면적, 대퇴근육면적 |
|
|
TOOLS |
 |
PDF Links |
 |
Full text via DOI |
 |
Download Citation
|
 |
 |
Share:
|
 |
METRICS  |
|
|
Related articles |
Effects of dance sports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in elderly women 2010 August;19(3) |
Effects of Aerobic Exercise Duration on Body Composition, Serum Density of Lipid, Diet and Metabolic Regulation Hormone in Middle Aged Obese Women 2014 May;23(2) |
The effect of long term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MD and blood cholesterol in menopause woman. 2008 August;17(3) |
The effects of combination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cholesterol and cardiac rick factors in middle obesity man 2008 February;17(1) |
Effects of diverse exercise Intensities on levels of MDA, SOD, GPx, and TNF-α in human plasma 2009 February;18(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