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Exerc Sci > Volume 29(2); 2020 > Article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self-express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participating in movement programs applied at art integration education affects their self-efficacy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t-integrated movement program, 20 students with a second-grad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recruited from 1st grade to 4th grade of a special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Ten students that applied for the dance program were assigned the art-integrated movement program, whereas the other students wer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dance class but participated in a school program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assigned the control group. Each of the classes were consists of 40 minutes sessions per week (two times/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Data were compiled and analyzed by SPSS window program (Ver. 21.0).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on self-efficacy.

RESULT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integration movement program had an impact on their confidence in contents self-expression (t=3.087. p<.01) and voice self-expression (t=2.766, p<.01). contents self-expression (t=3.940, p<.001) affected self-regulating efficacy. and contents self-expression (t=4.057,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to task

CONCLUSIONS

The movement program that applied art integrated education suggests that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an effective education to increase self-efficacy. A multifaceted study that is practic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s needed.

서 론

움직임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운동발달적 측면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인간 움직임은 오늘날 여러 예술의 영역과 통합되면서 단순히 운동발달만이 아닌 지적 향상과 함께 창의성, 자기표현, 그리고 개념형성 등이 어우러져 지적 또는 심리적 능력의 발달까지 의미하며 여러 분야에서 그 의미를 풍요롭게 하고 더욱 뜻깊게 만든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인간문화의 여러 형식으로 표현되며, 최근 예술은 인문학 및 과학의 학제 간 통합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1,2]. 이러한 예술 활동의 효과는 즐거움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3]. 또한 예술적 실천을 통해 자기 표현의 기회를 가지며, 예술을 통한 미적 경험은 자신을 발견하는 통로로 활용된다[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아동기 예술 활동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특수교육대상인 지적장애 아동은 발달 전반에 걸쳐 사회적 기술 및 감정 조절 능력에 상당한 결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신체적 기능 및 심리 정서적 문제해결을 위한 예술통합적 관점의 운동학적 접근이 필요하다[5,6].
지적장애 아동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지적능력의 결함이며, 그들의 낮은 능력 때문에 스스로 할 수 없다고 믿어 결과적으로 잦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7]. 또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 아동은 원활한 의사소통의 장애를 가져오게 되어 대인관계의 위축 및 불안과 스트레스를 동반하게 되어 정서발달 및 언어발달, 인지발달의 지체를 나타낸다[5,8].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진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대처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개별화 및 특성화된 교육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에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여러 가지 예술을 적용한 치료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문제점은 지적장애 아동의 장애등급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지적장애 각 등급의 기준은 지적능력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지적장애 아동을 교육함에 있어 지적능력 수준인 등급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상황이며, 이는 치료적 접근에서도 의미를 같이한다.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적 접근은 음악, 미술, 무용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된 선행 연구에서 예술은 다각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9-15].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치료 목적을 강조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으며 가정과 연계를 이룬 부모의 평가가 반영된 연구는 미흡하였다. 또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장애등급이 혼재되어 있는 실정이었기에 지적장애 유형 및 급수, 장애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은 발달이 늦고 표현이 서툰 지적장애 아동에게 감각자극을 촉진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는 심리적 안정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단순한 즐거움 이상으로 또래와의 관계 형성 및 상호작용을 위한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자기표현의 방법을 배우게 되는 학습이 될 것이다[5,1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이 자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B 광역시 D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4 학년 지적장애 2급(지능지수 35 이상 49 이하) 아동2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15]. 연구대상 아동 중 ‘무용동아리 활동’을 선택한 아동들은 실험집단으로 10명을 선정하여 12주간 주 2회(월, 수), 1회 40분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용 동아리 활동을 선택하지 않은 10명의 아동으로 음악, 미술, 체육 교과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독립된 교과 교육만 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님의 동의하에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특징은 Table 1과 같으며, 통제집단의 특징은 Table 2와 같다.

2. 조사도구

1) 자기표현 검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표현 검사도구는 지적장애 아동의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Likert식 5점 척도를 적용하여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15].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사도구의 설문지를 부모(1명) 평가와 본 연구에 참여하여 보조적 역할을 담당한 특수학교 교사(정교사2명, 보조교사2명) 평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성 내용은 Table 3과 같다.

2)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는 지적장애 아동의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Likert식 5점 척도를 적용하여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16].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사도구의 설문지를 부모(1명) 평가와 본 연구에 참여하여 보조적 역할을 담당한 특수학교 교사(정교사 2명, 보조교사 2명) 평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성 내용은 Table 4와 같다.

3) 조사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1) 자기표현 검사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기표현 검사지에 대한 측정도구가 실제로 적절하게 측정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개념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총 20개의 변수에서 요인적재 값이 .60이하로 나타나는 5개 문항(1, 2, 3, 4, 6)을 제외한 15개의 변수를 선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표현 검사지의 문항별 적재 값은 내용적 자기표현 .667-.835, 음성적 자기표현 .653-.811, 신체언어적 자기표현 .745-.859로 나타나 구성개념의 타당도는 확보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각 구성개념별로 문항 전체의 Cronbach’s α계수는 내용적 자기표현 .732, 음성적 자기표현 .866, 신체언어적 자기표현 .807로 나타났으며, 각 구성개념별로 적절치 않은 문항을 제거했을 때의 Cronbach’s α계수는 내용적 자기표현 .601-.718, 음성적 자기표현 .836-.860, 신체언어적 자기표현 .716-.787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2) 자기 효능감 검사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기 효능감 검사지에 대한 측정도구가 실제로 적절하게 측정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개념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총 15개의 변수에서 요인적재 값이 .60 이하로 나타나는 1개 문항(3)을 제외한 14개의 변수를 선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 효능감 검사지의 문항별 적재 값은 자신감 .776-.836, 자기조절 효능감 .703-.837, 과제난이도 선호 .636-.826로 나타나 구성개념의 타당도는 확보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각 구성개념별로 문항 전체의 Cronbach’s α계수는 자신감 .827, 자기조절 효능감 .853, 과제난이도 선호 .787로 나타났으며, 각 구성개념에서 적절치 않은 문항을 제거했을 때의 Cronbach’s α계수는 자신감 .766-.805, 자기조절 효능감 .809-.845, 과제난이도 선호 .713-.779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3.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 구성

본 연구의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 구성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행한 초등학교 무용 교수 학습자료 1-2학년 예술통합교육으로 구성된 ‘예술 만나기’ 영역을 토대로 구성하였다[17]. 전체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2회(월, 수), 1회 40분의 내용으로 기본 움직임 8회, 응용 움직임 8회, 심화 움직임 8회의 총 24차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기본 움직임은 움직임의 기초영역인 비 이동 움직임, 이동 움직임, 조작적 움직임을 익히고 감각 자극을 통해 신체 감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응용 움직임에서는 기본 움직임에서 학습한 동작들을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박자의 흐름, 움직임의 강세, 움직임의 높낮이 변화를 활용해 신체의 감각을 확장시켰다. 심화 움직임에서는 백조의 움직임을 탐색하여 상상표현과 백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즉흥의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백조 움직임의 단계를 만들어 음악과 함께 반복적인 연습을 통하여 자신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 구성은 Table 7과 같다.

4. 자료처리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Ver. 21.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기표현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tepwise 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1. 자기표현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내용적 자기표현(β =.314), 음성적 자기표현(β =.281)이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값이 17.561(p< .001)로 회귀식은 유의하며, 설명력은 26.8%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2. 자기표현이 자기조절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내용적 자기표현(β=.371)이 자기조절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값이 15.526(p< .001)으로 회귀식은 유의하며, 설명력은 13.8%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3. 자기표현이 과제난이도 선호에 미치는 영향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내용적 자기표현(β=.381)이 과제난이도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값이 16.460(p< .001)으로 회귀식은 유의하며, 설명력은 14.5%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논 의

본 연구는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이 자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자기표현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반복적인 움직임 훈련으로 기능의 학습이 가능해진 결과로 보여진다[18]. 예술통합은 적극적인 움직임 표현을 유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여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창조적 예술개입이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한번 증진된 자신감은 다른 상황에도 전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19,20].
자기 효능은 장애에 직면하더라도 유리한 결과를 낼 수 있는 과제를 수행하고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다[20]. 지적장애 아동의 예술통합 움직임은 특정한 개념이나 기능을 익히기 보다는 또래와 함께 움직임을 만들고 표현하면서 즐거움이란 감정이 불안한 심리를 안정시켜 그들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동기와 주의집중을 유발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어 성취와 만족감을 준 결과로 자신에 대한 믿음과 통제능력이 증대 되어 자기조절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효능에 대한 신념은 행동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사고과정에 대한 자기조절, 동기 그리고 정서적, 생리적 상태와도 관련된다[21].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자기표현의 기회가 제공되고, 자기정서를 인식하여 표현능력이 높아짐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표현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과제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놀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반복 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확신이 생겼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정서 반응은 사고의 본질과 과정을 변화시킴으로써 행동을 결정하는데 변화를 주어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드는데 영향을 미친다[21]. 통제력을 행사하는 효능에 대한 믿음은 심리 사회적 영향이 건강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은 자신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 긍정적인 정서 형성 뿐만 아니라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22].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예술통합 움직임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은 자기표현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급의 지적장애 아동에게 국한되어 연구되었기에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와는 다른 등급의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정하고 등급별 서로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추후 지적장애 아동의 성장 환경 및 경험에 따른 성숙의 차이를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장선미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 보완하였음.

Conflict of Interest

이 논문 작성에 있어서 어떠한 조직으로부터 재정을 포함한 일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논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힌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Gender School year Characteristics
A Boy 2 Good at expressing one's intention, learning is possible
B Boy 2 Get along well with my friends.
C Boy 2 Anxious and distracted
D Boy 3 Have a good concentration
E Boy 3 Mild-mannered and like to dance
F Boy 4 Good at expressing one's opinion, lack of concentration
G Boy 4 Strong obsession with strap
H Girl 1 Like dancing to music
I Girl 3 Mild-mannered, socialize with friends
J Girl 4 Interaction is possible, like to play activity
Table 2.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group
Gender School year Characteristics
A Boy 1 Strong aggressive but like to dancing
B Boy 1 Passive character but like to expressions
C Boy 1 Concentrative but annoying
D Boy 2 Passive and unwilling to move
E Boy 2 Get along with friends but unwilling to move
F Boy 4 Communicatable and have learning ability
G Girl 3 Distracted and Stubborn.
H Girl 3 Good cognition, but distracting
I Girl 4 Strong willing to study, but distracting
J Girl 4 Very active and like to play
Table 3.
Configuration of the self-expression questionnaire
Variable Division Content Question Number
Self - expression test Contents There are lots of self-expression elements in their speech 1-9
Voice Voice is correct and clear that the other person can understand easily 10-16
Body language Their facial expressions, hands and feet move naturally 17-20
Table 4.
Configuration of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Variable Division Content Question Number
Self-Efficacy test Confidence The conviction or belief in one’s ability to action 1-5
Self-regulating efficacy The degree of self efficacy whether the self-control mechanism can be applied well 6-10
Preference to task Degree of preference for specific tasks and goals 11-15
Table 5.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expression questionnaire
Concept Variable Number Factor loading value Cronbach α for deleted item Total Cronbach α Removed number
Self-expression (contents) 5 .667 .718 .732 1, 2, 3, 4, 6
7 .688 .707
8 .782 .650
9 .835 .601
10 .811 .836
Self-expression (voice) 11 .729 .850 .866
12 .785 .841
13 .723 .850
14 .782 .841
15 .727 .849
16 .653 .860
Self-expression (body language) 17 .768 .776 .807
18 .813 .748
19 .859 .716
20 .745 .787
Table 6.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
Concept Variable Number Factor loading value Cronbach α for deleted item Total Cronbach α Removed number
Confidence 1 .810 .784 .827 3
2 .828 .770
4 .776 .805
5 .836 .766
Self-regulating efficacy 6 .803 .823 .853
7 .823 .816
8 .837 .809
9 .703 .845
10 .808 .818
Preference to task 11 .636 .779 .787
12 .737 .768
13 .736 .753
14 .826 .713
15 .742 .752
Table 7.
Art integration movement program
Movement contents of integrated activities Improvement
1 Basic movement Self-introduction with movement self-expression
2 Introduce a friend with movement
3 Make a space with movement self-expression
4
5 Movement with friends self-expression
6 self-efficacy
7 Game movement self-expression
8 self-efficacy
9 Application movement Make a figure with movement (fast, slowly) self-expression
10 self-efficacy
11 Make a number with movement (strongly, weakly) self-expression
12 self-efficacy
13 Make a consonant and vowel with movement self-expression
14 self-efficacy
15 Make a alphabet with movement self-expression
16 self-efficacy
17 Intensified movement Express a animal with movement self-expression
18 self-efficacy
19 Search the swan movement self-expression
self-efficacy
20 Express the swan movement1 self-expression
21 self-efficacy
22 Express the swan movement 2
23 self-expression
24 Perform the swan movement self-efficacy
Table 8.
Influence of self-expression on confidence
Variable Bi SE β t
Constant .229 .337 .679
self-expression (contents) .278 .090 .314 3.087**
self-expression(voice) .239 .086 .281 2.766**
F = 17.561***, R2 = .268

** p<.01,

*** p<.001.

Table 9.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elf-regulating efficacy
Variable Bi SE β t
Constant .878 .263 3.339***
self-expression (contents) .269 .068 .371 3.940***
F = 15.526***, R2 = .138

*** p<.001.

Table 10.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the task preference
Variable Bi SE β t
Constant .835 .198 4.212***
Self-expression (contents) .209 .051 .381 4.057***
F = 16.460***, R2 = .145

*** p<.001.

REFERENCES

1. Zaidel Dahlia W. Culture and art: Importance of art practice, not aesthetics, to early human culture. Prog Brain Res. 2018;237:25-40.
crossref pmid
2. Pepperell R. Art, energy, and the brain. Prog Brain Res. 2018;237:417-435.
crossref pmid
3. Christensen Julia F. Art and the brain: From pleasure to well-being. Prog Brain Res. 2018;237.

4. De Beukelaer S, Azevedo R, Tsakiris M. Relating movements in aesthetic spaces: Immersing, distancing, and remembering. Prog Brain Res. 2018;237:455-469.
crossref pmid
5. Zyga O, Russ SW, Meeker H, Kirk J.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 School-Based Musical Theater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 Intellect Disabil. 2018;22(3):262-278.
crossref pmid
6. Mavilidi MF, Lubans DR, Morgan PJ, Miller A, Eather N, Karayanidis F, Lonsdale C, Noetel M, Shaw K, Riley N. Integrating Physical Activity Into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Rationale and Study Protocol for the “Thinking While Moving in English”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2019;19(1):379.
crossref pmid pmc pdf
7. Montague M.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 Learn Disabil. 1997;30:164-177.
crossref pmid
8. Hassall R, Rose J, McDonald J.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ffects of parental cognitions in relation to child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J Intellect Disabil Res. 2005;49(6):405-418.
crossref pmid
9. Pasiali V, LaGasse AB, Penn SL. The Effect of Musical Attention Control Training (MACT) on Attention Skills of Adolescents With Neurodevelopmental Delays: A Pilot Study. J Music Ther. 2014;51(4):333-354.
crossref pmid pdf
10. Shiranibidabadi S, Mehryar A. Music Therapy as an Adjunct to Standard Treatment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Co-Morbid Anxiety and Depress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Affect Disord. 2015;184:13-17.
crossref pmid
11. Dikann A. Art Therapy, a Care Approach With Several Dimensions. Soins Psychiatr. 2019;40(323):25-28.
crossref
12. Müller-Pinget S, Golay A. To Improve Body Image With Dance Therapy. Rev Med Suisse. 2019;15(643):640-642.
pmid
13. Kalyani HHN, Sullivan KA, Moyle G, Brauer S, Jeffrey ER, Kerr GK. Impacts of dance on cognition,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rkinson’s disease. NeuroRehabilitation. 2019;45(2):273-283.
crossref pmid
14. Ciambella M, Vescera L, Pallagrosi M, Rusconi AC.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With Music Improvisation in the Integrated Treatment at a Psychiatric Day Hospital: Preliminary Results. Riv Psichiatr. 2019;54(5):206-210.
pmid
15. Lee JI.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la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aegu: Yeungnam University, 2013.

16. Uoo SS. A Effect of UCC (User Created Contents) Making Activity on Self-efficacy and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yeongsangnam-do: Chang-won Nat ional University, 2011.

17.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Elementary School Dance. 2011.

18. Purugganan O. Intellectual Disabilities. Pediatr Rev. 2018;39(6):299-309.
crossref pmid
19. Vaisvaser S. Moving Along and Beyond the Spectrum: Creative Group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Front Psychol. 2019;10:417.
crossref
20. Liu KT, Kuan G, Arifin WN, Kueh YC.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lf-efficacy scal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Malaysia. Malays J Med Sci. 2019;26(3):119-128.
pmid pmc
21.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1997;84(2):191-215.
crossref pdf
22. Bandura A. Health Promotion by Social Cognitive Means. Health Educ Behav. 2004;31(2):143-64.
crossref pmid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2,969
View
96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pt. of Healthcare and Science, Dong-A University, 37, Nakdong-daero 550beon-gil, Saha-gu, Busan 49315, Korea
TEL: +82-51-200-7517   E-mail: editor@ksep-es.org
Editorial Assistant: Taewan Kim +82-10-4019-0208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veloped in M2PI